
Querydsl로 프로젝트를 하면서 많은 쿼리문을 작성하는데 필요 시 계속 구글링하면서 하기도 귀잖고 해서 일반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. ◆기본적인 사용 //객체 조회 val foos = query.selectFrom(foo).fetch() //count 조회 val count = query.selectFrom(foo).fetchCount() //join val foos = query.selectFrom(foo) .leftJoin(food).on(foo.id.eq(food.foo.id) .fetch() //ordering val foos = query.selectFrom(foo) .orderBy(foo.name.asc(), foo.age.desc()).fetch() //update quer..

앞의 두글(개념 및 설치, 기본적인 사용법)에서 MongoDB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가는 시간이 였다면 이 글에서는 Spring boot에 적용에 있어서 설정과 사용법 그리고 주의해야 할 점들에 대하여 알아보자. 프로젝트 설정 MongoDB를 사용하려면 프로젝트 설정 build.gradle.kts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해 줘야 한다. import org.jetbrains.kotlin.gradle.tasks.KotlinCompile plugins { id("org.springframework.boot") version "2.5.6" id("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") version "1.0.11.RELEASE" kotlin("jvm") version "1.5.31" kotlin..
Comment